#공통, 전략
[설명]
A/D 라인은 간단한 질문들에서 시작됩니다.
첫째, 전날 대비 상승한 주식과 하락한 주식은 각각 몇 개입니까?
둘째, 전날과 비교하면 어떻습니까?
A/D 라인은 순상승종목수로 당일 상승 종목수에서 하락 종목을
빼서 시장의 추세를 파악할 때 사용됩니다.
ADL = 상승종목수-하락종목수;
시장의 상승종목수와 하락종목수는 별도의 데이터로 제공되므로
차트에 참조데이터(참조종목)으로 추가하고 수식에서 이용해야 합니다.
차트 왼쪽 상단의 종목선택 버튼 중
왼쪽은 기본종목을 선택하는 버튼이고,
오른쪽은 참조데이터를 선택해 차트에 추가하는 버튼입니다.
참조데이터는 차트에 추가되는 순서로
data2부터 data99까지 데이터 번호가 자동부여되고
수식에서는 데이터번호로 해당 데이터를 지정해 값을 가져와 사용합니다.
첫번째 추가한 참조데이터의 종가는 data2(c), 이동평균은 data2(ma(C,20))
두번째 추가한 참조데이터의 종가는 data3(c), 이동평균은 data3(ma(C,20))
위와 같이 Data번호( ) 함수 안에 데이터예약어나 함수 등을 지정해
값을 가져오가나 계산을 합니다.
//data2 -> KP나 KQ 상승종목수
//data3 -> KP나 KQ 하락종목수
var : ADL(0,data2),clr(0);
//data2의 종가와 data3의 종가차
ADL = data2(c)-Data3(C);
//ADX이 0 위에서 상승이면 RED, 하락이면 Pink.
//ADX이 0 아래에서 하락이면 blue, 상이면 Teal을 clr에 저장
if ADL > 0 Then
{
//전봉대비 크면
if ADL > ADL[1] Then
clr = Red; //clr에 red 저장
Else //아니면
clr = pink;
}
Else
{
if ADL < ADL[1] Then
clr = Blue;
Else
clr = Teal;
}
//기본종목(data1)과 참조종목의 날짜가 같으면 ADL출력
//속성에서 막대그래프, 굴기는 자동므로 지정
if Data1(sDate) == Data2(sDate) Then
Plot1(ADL,"AD Line",clr);
Else
NoPlot(1);
JavaScript
복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