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국내선옵)분봉에서 다른분봉 단순이동평균

분봉 차트에서 다른 분봉을 계산할 때는, 현재 차트 주기의 배수에 해당하는 더 큰 주기만 가능합니다.
예) 5분봉 → 10분봉, 15분봉, 20분봉
랭귀지는 봉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만 활용할 수 있으며, 개별 봉의 내부 가격 변동이나 시간 흐름은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차트 주기보다 낮은 주기는 수식으로 계산할 수 없으며, 차트 주기의 배수가 아닌 주기 역시 계산이 불가능합니다.
input : 분주기(30),Period(20); Var : Reschedule(False); Var : S1(0),D1(0),TM(0),TF(0),cnt(0); Var : sum(0),mav(0); Array : CC[100](0); #새로운 영업일이 시작하거나 845분 이후 첫봉이면 true 아니면 false Reschedule = Bdate != Bdate[1] or (sDate != sDate[1] and sTime >= 84500) or (sDate == sDate[1] and sTime >= 84500 and sTime[1] < 84500); //새로운 영업일이거나 8시 45분 이후 첫봉이면 //시작시간(S1)과 날짜(D1)를 초기화 if Reschedule == true Then { //첫봉의 stime을 분으로 변환하여 기준에 사용 S1 = TimeToMinutes(stime); //첫봉의 현재 날짜 저장 D1 = sdate; } // D1에 날짜가 저장된 이후(영업일 변경이 되는 봉이 발생 후에) if D1 > 0 then { //같은 날짜인지 판단하여 영업일 변경이후 경과분(TM)계산 if sdate == D1 Then TM = TimeToMinutes(stime)-S1; //첫봉과 동일날짜이면 첫봉부터 경과분계산 Else TM = TimeToMinutes(stime)+1440-S1; //다음날이면 24시간(1440분)을 더해서 보정 //영업일 변경이후 경과분을 분주기로 나누어 나머지를 구함 TF = TM%분주기; //새로운 영업일이 시작하거나 새로운 분이 시작되면 if Reschedule == true or (Reschedule == False and 분주기 > 1 and TF < TF[1]) or (Reschedule == False and 분주기 > 1 and TM >= TM[1]+분주기) or (Reschedule == False and 분주기 == 1 and TM > TM[1]) Then { //배열의 0번방기준으로 최신값순으로 저장하기 위해 //배열의 기존값을 다음방으로 이동 for cnt = 99 downto 1 { CC[cnt] = CC[cnt-1]; } } //0번방에는 최신값(종가)를 저장 CC[0] = C; //지정한 기간을 계산하기 위해 충분한 데이터가 쌓이면 계산 if CC[Period-1] > 0 then { //최근 Period개의 배열에서 CC값을 가져와 합산 sum = 0; for cnt = 0 to Period-1 { sum = sum+CC[cnt]; } //합산값을 Period로 나눔 mav = sum/Period; // 차트에 이동평균 표시 plot1(mav,"이평"); } }
JavaScript
복사
[설명] 분봉차트에서 다른 분봉주기의 이동평균을 계산하는 수식입니다.
1.
24시간 거래되는 상품들도 있으므로 날짜변경이 아닌 영업일 변경을 기준으로 현재봉이 몇분이 경과했는지 계산
2.
경과한 분을 다른주기로 나누어 나머지를 구해서 다른주기의 시작봉 체크
3.
필요한 값을 배열에 저장하는데 새로운 다른주기 시작봉이 발생하면 기존 배열의 값을 다음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0번방에 최신값 저장
4.
계산에 필요한 배열값이 모이면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