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예제13. 종목검색에서 결과값 이용

종목검색화면에서 결과값은 사용자검색조건에 조건식이 1개이면 수식에서 결과값으로 지정한 값이 출력되지만 조건식이 2개 이상이면 조건만족여부만 O,X로 알려주게 됩니다.
스팟에서 종목검색에 리턴되는 결과값도 이와 같습니다.
파워종목검색이 완료되면 검색된 종목들의 종목코드는 aItemList에 검색된 갯수는 nCount에 결과값은 aValues로 리턴이 됩니다. 1개의 조건식으로 구성된 사용자검색조건은 aValues에 종목검색식에서 지정한 값이 리턴되고 결과값은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제공됩니다.
2개 이상의 조건식으로 구성된 사용자검색조건은 aValues에 만족여부만 O,X대신에 1,0으로 제공됩니다.
검색 결과값은 스트링으로 2개이상의 조건으로 이루어진 경우 결과값이 콤마로 구분되어 있는 스트링입니다.
그러므로 조건을 지정할 경우 “1,0”와 같이 지정해 조건을 지정해야 합니다.
만약 각 조건의 만족여부값을 각각 지정하고자 하면 JSON.parse 함수로 값을 변환해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 예스매매신호의 결과값
예스랭귀지로 작성한 종목검색식은 find(출력결과값); 으로 작성되어 1개의 결과값만 출력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종목검색창에서 제공되는 예스매매신호들 중 일부는 여러 개의 항목을 출력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용자검색조건에 예스매매신호를 사용하면 리턴되는 결과값은
"현재상태,총거래횟수,수익거래횟수,손실거래횟수,연평균손익,승률,평균수익/평균손식"와 같이 각 종목별로 여러 개의 값이 콤마로 구분되어 스트링으로 제공되고 연평균손익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되어 제공됩니다.그러므로 예스매매신호의 각 항목의 값을 이용하고자 하면 JSON.parse 함수로 값을 변환해서 이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