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참조데이터(data2)의 이동평균 그리기

참조데이터는 차트에 추가되는 순으로 data2부터 data99까지 데이터 번호가 자동부여 됩니다. 수식에서 참조데이터를 이용할 때는 이 데이터번호를 이용해야 합니다. 랭귀지에 data2(),~data99()까지 데이터번호 함수가 제공되는데 데이터예약어나, 계산식, 함수를 데이터번호 함수안에 넣으면 해당 계산식은 지정한 데이터번호의 데이터로 계산해서 리턴하게 됩니다. data번호(데이터예약어 or 계산식 or 함수) data2의 5이동평균이면 data2(ma(C,5))와 같이 지정하면 됩니다. 간혹 ma(data2(c),5)와 같이 작성하면 해당 표현은 5봉이 data2의 5개봉이 아닙니다. data2로 5개봉을 지정하려면 반드시 data2함수안에 ma함수를 위치하게 해서 data2(ma(c,5))와 같이 작성되어야 합니다.
input : Period1(5), Period2(20), Period3(60); var : D2MA1(0,Data2),D2MA2(0,Data2),D2MA3(0,Data2); D2MA1 = Data2(ma(c,Period1)); D2MA2 = Data2(ma(c,Period1)); D2MA3 = Data2(ma(c,Period1)); plot1(D2MA1, "data2의 이동평균1"); plot2(D2MA2, "data2의 이동평균2"); plot3(D2MA3, "data2의 이동평균3");
JavaScript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