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봉 차트에서 다른 분봉을 계산할 때는,
현재 차트 주기의 배수에 해당하는 더 큰 주기만 가능합니다.
예) 5분봉 → 10분봉, 15분봉, 20분봉
랭귀지는 봉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만 활용할 수 있으며,
개별 봉의 내부 가격 변동이나 시간 흐름은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차트 주기보다 낮은 주기는 수식으로 계산할 수 없으며,
차트 주기의 배수가 아닌 주기 역시 계산이 불가능합니다.
Input : 분주기(30),Period(20);
Var : S1(0),D1(0),TM(0),TF(0),i(0);
Var : CWSum(0),WSum(0),WMAV(0);
Array : CC[100](0);
// 새로운 영업일이 시작하면 시작시간(S1)과 날짜(D1)를 초기화
if Bdate != Bdate[1] Then
{
//첫봉의 stime을 분으로 변환하여 기준에 사용
S1 = TimeToMinutes(stime);
// 기준 거래일 저장
D1 = sdate;
}
if D1 > 0 then
{
//같은 날짜인지 판단하여 영업일 변경이후 경과분(TM)계산
if sdate == D1 Then
TM = TimeToMinutes(stime)-S1; //첫봉과 동일날짜이면 첫봉부터 경과분계산
Else
TM = TimeToMinutes(stime)+1440-S1; //다음날이면 24시간(1440분)을 더해서 보정
//영업일 변경이후 경과분을 분주기로 나누어 나머지를 구함
TF = TM%분주기;
//새로운 영업일이 시작하거나 새로운 분이 시작되면
if Bdate != Bdate[1] or
(Bdate == Bdate[1] and 분주기 > 1 and TF < TF[1]) or
(Bdate == Bdate[1] and 분주기 > 1 and TM >= TM[1]+분주기) or
(Bdate == Bdate[1] and 분주기 == 1 and TM > TM[1]) Then
{
//배열의 0번방기준으로 최신값순으로 저장하기 위해
//배열의 기존값을 다음방으로 이동
for i = 99 downto 1
{
CC[i] = CC[i-1];
}
}
//0번방에는 최신값(종가)를 저장
CC[0] = C;
//지정한 기간을 계산하기 위해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면 계산
if CC[Period-1] > 0 Then
{
CWSum = 0; // 분자(가격*가중치 합)
WSum = 0; // 분모(가중치 합)
For i = 0 To Period - 1
{
CWSum = CWSum + CC[i] * (Period - i); // 최근일일수록 큰 가중치 부여
WSum = WSum + (Period - i); // 가중치 누적
}
// 가중 이동평균 계산
WMAV = CWSum/WSum;
plot1(WMAV); // 차트에 WMA 출력 (변수명 오타 방지: WMAV로 출력)
}
}
JavaScript
복사
[공식]
가중이동평균 = (Price× N + Price[1]×(N-1)+....Price[N]×1)/(N+(N-1)+(N-2)......+1)
[설명]
분봉차트에서 다른 분봉주기의 기중이동평균을 계산하는 수식입니다.
1.
24시간 거래되는 상품들도 있으므로
날짜변경이 아닌 영업일 변경을 기준으로 현재봉이 몇분이 경과했는지 계산
2.
경과한 분을 다른주기로 나누어 나머지를 구해서
다른주기의 시작봉 체크
3.
필요한 값을 배열에 저장하는데
새로운 다른주기 시작봉이 발생하면 기존 배열의 값을 다음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0번방에 최신값 저장
4.
계산에 필요한 배열값이 모이면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