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설명
Welles Wilder에 의해 개발되었으면 현재의 추세와 함께 그 추세의 강도까지 알려 주는 지표로
단기보다는 중장기 추세 판별에 적합합니다.
+DI는 실질적으로 상승하는 폭의 비율을 나타내며,
-DI는 실질적으로 하락하는 폭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DI가 -DI보다 큰 국면은 상승추세, 작은 국면은 하락추세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I가 -DI를 상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매수, 하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매도포지션을 취합니다.
+DI와 -DI의 교차를 매매신호로 이용할 때는 ADX를 같이 사용해야 합니다.
즉 +DI와 -DI가 교차하는 시점에서
ADX가 20선 아래에서 진행되다가 다시 그 값이 커지거나 20선을 상향돌파 하는 시점에서
+DI와 -DI중 값이 큰 지표방향으로 매매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ADX값이 상승하는 것은 현재 +DI와 -DI중 위에 있는 지표의 방향대로 추세가 진행되며,
그 강도가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계산식
DMPlus = (당일고가-전일고가) > 0 이고
(당일고가-전일고가 > 전일저가-당일저가) 이면
(당일고가-전일고가)이고 아니면 0.
DMMinus = (전일저가-당일저가) > 0 이고
(당일고가-전일고가 < 전일저가-당일저가) 이면
(전일저가-당일저가)이고 아니면 0.
TR = TrueRange값
TRn = TR의 Period 기간 이동평균값
DMnPlus = (+DM)의 Period 기간 이동평균값
DMnMinus = (-DM)의 Period 기간 이동평균값
DIPlus = DMnPlus/TRn
DIMinus = DMnMinus/TRn
DMI = (DiPlus-DIMinus)의 절대값/(DiPlus+DIMinus)*100
관련 함수
DIPlus(기간)
DIMinus(기간)
DMI(기간)
ADX(기간)
활용예시
//DI+가 Di-를 상향돌파하면 매수
//DI+가 Di-를 하향이탈하면 매도
input : Period(14);
var : DP(0),DM(0);
DP = DiPlus(Period);
DM = DiMinus(Period);
if CrossUp(DP,DM) Then
Buy("B");
if CrossDown(DP,DM) Then
Sell("S");
C
복사
뒤로가기는 좌측상단의 목차 버튼을 눌러주세요.
